독특한 취향과 개성이 강한 MZ세대들은 신의 직장도 퇴사를 하며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한다는 뉴스가 기억이나네요. 보수적인 기존의 보수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는다면 신입사원이 회사에 남아있길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물론 회사의 문화도 변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MZ 세대들은 자기주도적인 성향이 더 강하기 때문에 기존의 일률적이고 고리타분한 방식의 업무처리 방식에 흥미와 즐거움을 느낄 수 없었을 겁니다.
그래서 최근 젊은 세대 위주로 스타트업으로 이직하거나 또는 창업을 도전하는 트렌드가 증가하게 되고 있는 것이죠. 창업을 하기에 문제는 바로 '자금'문제가 가장 큰 이슈일 겁니다. 새내기 창업자에게 자금을 조달해줄 인맥이나 채널이 없기 때문에 특히 현금흐름이 중요한 제조업의 경우 제품을 생산해도 판매하지 못하는 일도 있을 수도 있는 것이죠.
여기에 크라우드펀딩이라는 해결책이 나오며 다양한 성공사례가 나온 소식을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크라우드펀딩은 한글말로 말하면 온라인 투자 중개라고 자금이 부족하거나 없는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다수의 소액투자자들에게 아이디어 실현을 위해 투자금을 받는 것 또는 사업 자금을 조달받는 방법입니다. 이와 관련된 와디즈 펀딩이라는 사이트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로지 아이디어만으로도 창업 도전
와디즈의 창업자는 펀딩받은 돈을 통해서 제품을 만들고 이후 제품을 배송해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쇼핑몰과는 다른 형태이죠. 제품비를 받고 생산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재고가 확보되지 않은 소규모 기업이나 개인에게도 충분히 시장에 진입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펀딩에 참여한 물량만큼만 생산하면 되기 때문에 신선제품이나 음식과 같이 유통기간이 있는 상품의 경우 수요를 미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창업자에게 초기 생상과 물류에 드는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또한 크라이드펀딩이 성공적이게 된다면 이것이 경력이 되어 추가적인 마케팅 비용이나 별도의 판매 채널을 구축하지 않아도 다양한 플랫폼에 입성하는 기회가 오고 기관투자를 유치해 글로벌 기업으로도 성장할 수도 있게 됩니다.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요.
로엠브 한지신발 - 고딩학생 메이커
이렇게 진입장벽과 창업자들에게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와디즈에서 일반인들이 아이디어를 통해 창업 아이템으로 발전 시키는 일반인 사례가 있었습니다.
한지 신발로 환경보호의 목적을 이루기위한 고등학생, 한지 신발 브랜드 '로엠브'를 만든 사람은 고등학생 최진혁 씨입니다.
평소에 도마뱀을 좋아했지만 환경 파괴로 인해 도마뱀이 멸종위기에 소식을 접하며 고민 끝에 신발이 분해되는데 100년이 이상 걸린다는 것을 알고 직접 친환경 신발을 만들자라고 결심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샘플은 섬유 업체들을 찾아가며 1년간 어렵게 물에 젖지 않은 한지 가죽을 통해 샘플을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양산까지에는 방법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와디즈 플랫폼을 통해서 신발의 특징과 목적을 스토리에 작성함으로써 반응은 폭발적이었고 목표 금액의 1900%를 펀딩에 성공하며 1600만원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친환경 실리콘 약병 '쭙' - 주부 메이커
이번 사례는 두 아이를 키우는 가정주부 최혜미씨의 사례입니다. 유독 많이 아팠던 첫째가 사용하였던 일회용 약병이 플라스틱이라는 점을 의심하게 되었고 약병의 눈금이 정확히 보이질 않아 매번 약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하네요.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지하게 되면서 아이를 위한 약병을 직접만들고자 하였다고 합니다.
친환경 실리콘 약병 쭙은 100% 플래티넘 실리콘 소재로 제작해 환경호르몬과 미세플라스틱 검출이 되지 않고 고온 소독이 가능해 여러번 위생적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최혜미 씨의 대학 시절 전공이 플루트이며 전혀 창업과 상관이 없었고 오로지 아이에게 안전한 약병을 만들고 싶다는 마음하나만으로 손 스케치를 이용한 아이디어가 성공적인 펀딩을 하게 만들게 되었습니다.
창업에 시도하시는 분들에게 더할나위 없이 좋은 플랫폼인거 같습니다.
모든 새내기 창업자분들을 응원합니다.
레형,
사진저작권
<a href="https://kr.freepik.com/vectors/team">Team 벡터는 storyset - kr.freepik.com가 제작함</a>
'사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 인상 및 추가 상승 가능성 :: 물가상승률 4% (1) | 2022.04.24 |
---|---|
스탠딩 매장, 서서먹는 에스프레소 트렌드 (0) | 2022.04.19 |
거리두기 해체 늘어나는 모임과 술자리 (0) | 2022.04.17 |
반려식물 시대, 식집사들의 LG전자 트윈 미니 (0) | 2022.04.10 |
남의 집에서 취미생활 즐기기 - 달라지는 MZ세대의 모임 트렌드 (0) | 2022.04.10 |
댓글